당연함이라는 건 시대 앞에 무력하다. 부모세대엔 돈모아 일가를 꾸리고 살아가는게 당연함이었다. 근데 그건 지금 시대엔 당연하지 않음 투성이다.
'돈모아'부터 보자. 주변을 잘 살펴보자. 돈을 모으고 있는건가, 갚고있는건가. 가장 좋은 표현을 골라봐야 '돈굴려'밖에 안나온다. 사실 '돈 굴려'도 아니다. '돈 메꾸며'가 정확하다. 쓸 돈은 대부분 금융업체에서 빌려 메꾼다. 기본적으로 먹고 입는 것도 카드로 계산하는데 이것도 돈을 빌린 뒤 다음달에 메꾸는 것이다. 게다가 집이나 차, 결혼자금은 더 말할 것도 없다.
'일가를 꾸리고' 역시 이 시대에선 점점 당연하지 않게 되어가고 있다. 종족번식행위인 섹스는 이젠 유흥거리나 생활이 되었고 자신의 삶을 위해 결혼이 걸림돌이 된다면 결혼도 하지 않을 수 있는 시대.
결국 돈모아 일가를 꾸리고 살아가는 건 이젠 돈 메꾸며 살아가다 필요하면 결혼을 하는 걸로 바뀌었다.
우린 이런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2012년 6월 11일 월요일
2012년 6월 9일 토요일
아름다운 위화감
오우삼 감독의 페이스오프에는 총격전 중에 아기에게 씌워준 헤드폰에서 흘러나오는 오버더레인보우가 총격전의 소음을 지우고 전투장면을 아름답게 해준다. 아름다운 위화감을 처음 느꼈다.
그 아름다운 위화감을 주말마다 느낀다. 아버지께서 전쟁영화를 즐겨보시는데 올드팝을 함께 틀어놓으신다. 일요일만 쉬시다보니 좋아하는 두가지를 최대한 즐기고싶으신 모양이다.
좀 전의 조합은 밴드오브브라더스와 엘비스의 러브미텐더. 얼마전엔 라이언일병 장갑차와의 전투장면과 퀸의 보헤미안 랩소디. 특히나 격한 음악보다는 감미로롭거나 차분하며 아련한 음악과 묘하게 잘 어울린다.
묘하다.
그 아름다운 위화감을 주말마다 느낀다. 아버지께서 전쟁영화를 즐겨보시는데 올드팝을 함께 틀어놓으신다. 일요일만 쉬시다보니 좋아하는 두가지를 최대한 즐기고싶으신 모양이다.
좀 전의 조합은 밴드오브브라더스와 엘비스의 러브미텐더. 얼마전엔 라이언일병 장갑차와의 전투장면과 퀸의 보헤미안 랩소디. 특히나 격한 음악보다는 감미로롭거나 차분하며 아련한 음악과 묘하게 잘 어울린다.
묘하다.
2012년 6월 7일 목요일
똑!
똑! 하고 걸린 담이 풀릴때도 똑! 하고 풀렸으면 좋겠다. 담의 시작처럼. 하지만 늘 천천히, 그러다 어느날 문득 풀린 걸 알아챌 뿐이다. 이쪽으로 움직이다 똑! 하고 걸렸으면 반대편으로 움직였을 때 딱! 하고 풀리면 얼마나 좋을까?
사는 것도 그렇다. 늘 사고는 땅! 하고 시작한다. 달리기 시작처럼 "요이-"하는 예고도 없다. 하지만 담과 마찬가지로 시작과 다르게 우여곡절을 겪다가 어느 순간, "지나갔구나." 하고 알아챌 뿐이다. 지랄맞다.
오직 잠만 반대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 같다. 언제인지 모르게 잠들고는 알람소리에 깬다. 예고없이.
또, 오직 사랑만이 양쪽의 구조를 다 가지고 있다. 어느 순간 한눈에 반해 시작되거나 서서히 빠져들고, 서서히 질리거나 어떤 사건을 계기로 한 순간에 마음이 깨진다.
동이 트고 있다. 언제 빠져들지 모를 잠을 기약없이 기다려야겠다.
사는 것도 그렇다. 늘 사고는 땅! 하고 시작한다. 달리기 시작처럼 "요이-"하는 예고도 없다. 하지만 담과 마찬가지로 시작과 다르게 우여곡절을 겪다가 어느 순간, "지나갔구나." 하고 알아챌 뿐이다. 지랄맞다.
오직 잠만 반대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 같다. 언제인지 모르게 잠들고는 알람소리에 깬다. 예고없이.
또, 오직 사랑만이 양쪽의 구조를 다 가지고 있다. 어느 순간 한눈에 반해 시작되거나 서서히 빠져들고, 서서히 질리거나 어떤 사건을 계기로 한 순간에 마음이 깨진다.
동이 트고 있다. 언제 빠져들지 모를 잠을 기약없이 기다려야겠다.
2012년 6월 3일 일요일
객관은 밥맛
사람들은 객관적 의견이나 평가를 신뢰한다. 주관이 근시안적 사고를 하고 개인의 입장일 뿐이라 신뢰할 수 없다는 이유로. 난 반대다.
객관이 뭔가. 감정을 배제하고 상황의 흐름만 지켜보고 인지한 제 3자의 주관 아닌가? 그게 어떻게 신뢰가 가는가. 당사자들 전부의 인생을 꿰뚫어보고 있다 해도 결국 제 3자라는 개인의 주관과 성향과 판단기준이 개입되고 심지어 당사자들의 감정을 문자로만 접할 뿐인데.
감정을 문자로 표현해보라. 있는 그대로 서술해보라. 단 하나의 작은 감정도 간과하지 않고 말할 수 있는가? 과거의 해묵은 감정이 개입 되어 어떻게 작용했는지도 설명할 수 있는가? 바람과 장소, 온도, 당시의 그 모든 것이 감정에 어떠한 작용을 하진 않았는가? 이 모든 걸 상대방이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겠는가
모든 일의 가장 정확한 감정은 본인밖에 모른다. 본인마저도 모를 수 있다. 단지 피력할 때 본인도 모르는 것들이 작용하여 표현될 뿐. 주관의 말은 설득력이 없을 지 몰라도 모든 걸 느끼고 알고있으니 가장 적절한 판단은 주관만이 할 수 있다. 그런데 제3자에게 판단을 맡겨?
객관을 어떻게 신뢰해. 난 못해. 단지 제 3자의 시야를 더 가지고 있을 뿐이지. 그 제 3자도 그날의 감정이나 당일의 일과에 의해 의견이 결정되는데.
객관 조까.
객관이 뭔가. 감정을 배제하고 상황의 흐름만 지켜보고 인지한 제 3자의 주관 아닌가? 그게 어떻게 신뢰가 가는가. 당사자들 전부의 인생을 꿰뚫어보고 있다 해도 결국 제 3자라는 개인의 주관과 성향과 판단기준이 개입되고 심지어 당사자들의 감정을 문자로만 접할 뿐인데.
감정을 문자로 표현해보라. 있는 그대로 서술해보라. 단 하나의 작은 감정도 간과하지 않고 말할 수 있는가? 과거의 해묵은 감정이 개입 되어 어떻게 작용했는지도 설명할 수 있는가? 바람과 장소, 온도, 당시의 그 모든 것이 감정에 어떠한 작용을 하진 않았는가? 이 모든 걸 상대방이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겠는가
모든 일의 가장 정확한 감정은 본인밖에 모른다. 본인마저도 모를 수 있다. 단지 피력할 때 본인도 모르는 것들이 작용하여 표현될 뿐. 주관의 말은 설득력이 없을 지 몰라도 모든 걸 느끼고 알고있으니 가장 적절한 판단은 주관만이 할 수 있다. 그런데 제3자에게 판단을 맡겨?
객관을 어떻게 신뢰해. 난 못해. 단지 제 3자의 시야를 더 가지고 있을 뿐이지. 그 제 3자도 그날의 감정이나 당일의 일과에 의해 의견이 결정되는데.
객관 조까.
자유롭고 싶은거 맞냐?
자유란 거, 자유롭지 못한 이의 상상 속에서 가장 찬란하지. 주어지면 또 다른 걸 바라보잖아. 마치 천사거나 여신이 분명하다 생각되는 여자를 천신만고 끝에 꼬셔내어 하룻밤을 보내고 난 아침, 옆에 누워 있는 건 결국 한명의 여자일 뿐이란 걸 알아버리고 TV채널을 돌리고 있듯.
자유가 너를 상대로 밀당해주지 않으면 넌 절대 능동적으로 자유를 온전히 느끼지 못하지. 안그렇다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냐? 자유의 허리를 끌어안은 채 자유 몰래 지나가는 딴 욕망 훔쳐보는 짓 하고싶은 건 아니고?
자유가 너를 상대로 밀당해주지 않으면 넌 절대 능동적으로 자유를 온전히 느끼지 못하지. 안그렇다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냐? 자유의 허리를 끌어안은 채 자유 몰래 지나가는 딴 욕망 훔쳐보는 짓 하고싶은 건 아니고?
피드 구독하기:
덧글 (Atom)